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기사실기 관련 정규과정 질문
- 작성자
- 엄희락
- 작성일
- 2015-04-25 09:44:59
- No.
- 31113
- 교재명
- 페이지
- 번호/내용
- 강사명
3장 송배전선로에서
문제 13번의 송전단전력 구할시 키르히호프 법칙에 의해 전류가 송수전단 전류가 같게되는 이유를 설명해 주세요.
문제 14번에 전력손실은 왜 저항에서만 일어나는지요? 리엑턴스는 무시가능한데요. 모터를 예를 들면 부하가 R과 같은 역할이기에 알고 있습니다만. 알려주세요.
문제 17번에서 부하전류 구할시 단상2선식에서 p=vi 3상에서는 p=/3 vi 인걸로 아는데 왜 cos@를 곱하지 않으지요? 아웃레트 단위가 {kw}인데요... 궁금합니다. 마치 p=vicos@ 혹은 p=루트3vi cos@ 처럼요.
문제 18번에서 전압강하에 380v(상전압과 선간전압 같음, 3상 3선 댈타결선 이므로)적용, 문제20번에서는 전압강하 220v(상전압)적용하였습니다. 문제20에서 380v가 왜 선간전압이고 220가 상전압인지요? 물론 220볼트 곱하기 루트3 하면 선간전압이 나오는 이치는 알고있습니다만 문제에서 3상4선식 교류 380v를 통해서 선간전압인것을 파악해야 하는데, 문제를 보고 이거는 상전압이다 선간전압이다를 파악한는 법을 알려주세요
문제 20번에서 허용전압강하 구할 시 선간전압 380 을 이용한 이유가 부하측에 있어서 중요하기 때문에 그런건가요?
문제22번에서 승압의 장점으로 유도디는 식인 P손실= p2r/v2cos2@ 인데 어떻게 승압의 장접으로 유도되는 것인지요?
또한 왜 전선굵기 선택시 왜 상전압기준인가요? 혹시 전선굵기 구할시 선간전압을 적용하면 약산식의 분모가 커지고 이로인해 단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단면적을 크게 유도하는 상전압을 적용한 것인가요??
문제 23번에서 공급능력증대는 전력손실일정일때 말한다고 하였는데 왜 그런건가요?? 그냥 이건 규정인가요?
문제 24번에서 정전용량이 크면 저압측 지락사고에 의한 불필요한 동작을 하는 경우가 있다라고 했는데요, “저압측이 지락사고에 의한”인가요? 그리고 그게 맞다면 그 이유를 설명해 주십시오.
4장 간선분기회로에서
문제 4번에 에어컨의 용량을 적용시 KVA로 환산을 하지 않고 KW로 적용하는 이유는?
질문1.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전류법칙은 임의의 점에서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합은 같다 입니다.
송전단에서 수전단으로 오는 전력선은 1회선이므로 송전단의 전류와 수전단의 전류는 같은 것입니다.
질문2.
L,C의 경우는 전력을 저장 또는 방전을 하는 역할을 하고,
저항은 열로서 소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전력손실은 유효전력을 의미하므로 전력선의 저항에소 소비되는 전력이 됩니다.
질문3.
문제에서 전열용 이라고 하였습니다. 전열기, 열을 내는 기구들은 역률을 1로 봅니다.
또한 문제에서 역률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역률을 1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질문4.
3상 4선식이라고 하는 것은 Y결선을 의미하고 Y결선에서 상전압이 220이면 선간전압은 루트3배인 380이 됩니다. 또한 전압강하는 선간전압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전선의 굵기를 구하는 공식에서 전압강하 e는
상전압으로 유도된 공식이므로 전압강하는 상전압기준으로 대입을 하는 것입니다.
질문5.
승압이라고 하는 것은 전압을 크게 한다는 것입니다.
전압이 증가되면, 전력손실은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되므로 전력손실이 줄어들게 됩니다.
질문6.
전선굵기 구하는 공식 유도과정을 보시게 되면 유도과정에서 상전압으로 되어 있습니다.
질문7.
공급능력은 전압에 비례하고, 공급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국어의 문제이므로 암기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질문8.
정전용량이 크면 지락전류가 커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계전기가 동작을 하게 됩니다.
지락전류와 정전용량은 비례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질문9.
문제에서 역률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역률을 1로 볼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