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전력공학 5장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질문 있습니다.
- 작성자
- 송준혁
- 작성일
- 2017-03-14 21:22:45
- No.
- 56791
- 교재명
- 페이지
- 번호/내용
- 강사명
전력공학 5장 중성점 접지 강의를 시작하실때 접지의 종류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계통접지와 기기접지 이렇게 두 종류가 있다고 하셨고 세부적으로는
계통접지는 비접지, 직접접지, 저항접지, 소호리액터 접지
기기접지는 1종, 2종, 3종, 특3종 이렇게 나뉘어 진다고 하셨습니다.
질문1. 위에 첨부한 사진은 고,저압 혼촉에 의한 수용가측전위 상승 억제를 위한 제2종접지공사 입니다.
하지만 제가 봤을때 이 제2종접지공사와 계통접지는 매우 유사해 보입니다. 예를들어 y결선에서 중성점을 직접접지하는것과 위 사진처럼 y결선 제2종접지공사를 하는것과 매우 유사해 보입니다. 이 둘을 따로 구분하는 방법이 있는지 or 제가 알고있는 개념이 잘못된것인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질문2. 위 사진에서 델타결선쪽 질문입니다. 델타결선 한쪽에 저렇게 접지를 하게된다면 원래 델타결선이 가지고있던 상전압, 선간전압, 대지전압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건가요?
질문3. 기기접지는 각각 가져야 하는 접지저항이 있다고 배웠습니다. 그러면 계통접지의 직접접지 같은 경우는 접지저항이 0인가요?
계통접지와 기기접지 이렇게 두 종류가 있다고 하셨고 세부적으로는
계통접지는 비접지, 직접접지, 저항접지, 소호리액터 접지
기기접지는 1종, 2종, 3종, 특3종 이렇게 나뉘어 진다고 하셨습니다.
질문1. 위에 첨부한 사진은 고,저압 혼촉에 의한 수용가측전위 상승 억제를 위한 제2종접지공사 입니다.
하지만 제가 봤을때 이 제2종접지공사와 계통접지는 매우 유사해 보입니다. 예를들어 y결선에서 중성점을 직접접지하는것과 위 사진처럼 y결선 제2종접지공사를 하는것과 매우 유사해 보입니다. 이 둘을 따로 구분하는 방법이 있는지 or 제가 알고있는 개념이 잘못된것인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질문2. 위 사진에서 델타결선쪽 질문입니다. 델타결선 한쪽에 저렇게 접지를 하게된다면 원래 델타결선이 가지고있던 상전압, 선간전압, 대지전압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건가요?
질문3. 기기접지는 각각 가져야 하는 접지저항이 있다고 배웠습니다. 그러면 계통접지의 직접접지 같은 경우는 접지저항이 0인가요?
질문1.
계통접지의 경우는 지락사고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고,
기기접지의 경우는 인체감전 및 기기손상 방지의 목적이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모두 계통접지로 보는 것이 맞으며,
기기접지의 경우는 외함접지를 생각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즉, 위의 내용은 모두 계통접지라고 보셔야 합니다.
질문2.
선간전압, 상전압, 대지전압은 모두 같게 됩니다.
접지된 부분은 기준전위로 0전위가 됩니다.
질문3.
직접접지저항의 경우 이론상 0이지만
지락사고시 지락전류가 크게 되므로 적정한 저항값으로 조정을 합니다.
외함접지의 경우 설비에서 배우신대로
고압/특고압에서는 1종접지
400V 미만 3종접지
400V 이상 저압에서는 특3종 접지공사를 합니다.
질문1)
질문1에서 위와같은 경우는 계통접지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제2종접지공사의 경우는 기기외함에
접지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계통접지의 한 종류로 봐도 될까요?
질문2)
질문2에서 선간전압, 상전압, 대지전압은 모두 같게 된다고 하신 의미가
예를들면 접지 전 델타결선 선간전압=380v, 상전압=380v, 대지전압=220v 에서
1) 접지 후 델타결선 선간전압=380v, 상전압=380v, 대지전압=220v 이렇게 된다는 의미에요 아니면
2) 접지 후 델타결선 선간전압=380v, 상전압=380v, 대지전압=380v 이렇게 된다는 의미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