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개념혼동이 와서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재윤
- 작성일
- 2017-09-06 17:07:31
- No.
- 65384
- 교재명
- 페이지
- 번호/내용
- 강사명
원장님 안녕하십니까.
개념에 앞서서 간단한 문제를 예로 들어 질문드리겠습니다.
Q)그림과 같은 단거리 배전선로의 송전단 전압 및 역률은 각각 6600[V], 0.9 이고 수전단 전압 및 역률이 각각 6100[V], 0.8 일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 I[A]는? 단, r=10 [옴], x=20 [옴] 이다.
여기서 저는 전압강하 e=6600-6100=500=I(r cos@ + x sin@) 을 이용하여 I를 구했는데...
답이 다를뿐더러 풀이는 전력손실 I^2R로 구하더라구요.
전력손실로 구하는 것도 이해가 되지만 왜 전압강하를 이용하는 건 답이 다르고 안되는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전압강하 또한 선에 걸리는 전압이고 그로 인한 전류 역시 선에 흐르는 전류 일텐데...근본적인 원인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력손실의 전류와 전압강하에서의 전류는 같은 전류이지 않습니까?)
개념에 앞서서 간단한 문제를 예로 들어 질문드리겠습니다.
Q)그림과 같은 단거리 배전선로의 송전단 전압 및 역률은 각각 6600[V], 0.9 이고 수전단 전압 및 역률이 각각 6100[V], 0.8 일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 I[A]는? 단, r=10 [옴], x=20 [옴] 이다.
여기서 저는 전압강하 e=6600-6100=500=I(r cos@ + x sin@) 을 이용하여 I를 구했는데...
답이 다를뿐더러 풀이는 전력손실 I^2R로 구하더라구요.
전력손실로 구하는 것도 이해가 되지만 왜 전압강하를 이용하는 건 답이 다르고 안되는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전압강하 또한 선에 걸리는 전압이고 그로 인한 전류 역시 선에 흐르는 전류 일텐데...근본적인 원인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력손실의 전류와 전압강하에서의 전류는 같은 전류이지 않습니까?)
전압강하 공식이나 전력손실 공식이나 전류의 크기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송전단과 수전단의 역률이 다릅니다. 그 말은 송전단과 수전단의 위상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전압강하의 값이 6600-6100 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위상이 같다라는 전제조건하에서 입니다.
즉, Es-Er 의 값은 벡터적 해석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송전단 전압과 수전단 전압간에 위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력손실을 이용한 풀이 방법이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