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비접지 3상3선식에 비교하여 3상4선식의 장단점

작성자
우형철
작성일
2017-10-08 18:24:32
No.
66908
교재명
정규반-단답
페이지
단답자료
번호/내용
단답자료
강사명

비접지 3상3선식에 비교하여 3상4선식의 장단점

장점
...
2. 개폐서지의 값을 저감 시킬수 있으므로 피뢰기의 책무를 경감 시키고 그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다.
..
..

3상4선식에서 개폐서지의 값이 어떻게 저감이 되는 건가요???




단점
...
2. 지락전류는 저역률의 대전류이기 때문에 과도 안정도가 나빠진다.
-> 이것은 3상3선식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3상3선식의 지락전류는 역률이 높고, 저전류인가요??
    상대적으로 3상4선식의 지락전류가 그렇다면 이유는 무엇인가요??



3. 지락전류가 매우 커 기기에 대한 기계적 충격이 커서 손상을 주기 쉽다.
-> 왜 3상 4선식의 지락전류가 3상3선식의 지락전류보다 더 큰가요??(중복질문)
   (3상4선식에서 중선선에 지락전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저항을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4. 계통사고의 70~80%는 1선 지락사고 이므로 차단기가 대전류를 차단할 기회가 많아진다.
-> 중선선에 설치된 지락계전기의 작동횟수가 많을 것 같기도 하지만, 이는 3상3선식도 같은 횟수 일것 같은데, 3상3선식의 1선지락사고 횟수가 3상3선식의 지락사고 횟수보다 더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COMMENTS

담당교수
2017-10-10 14:32:50
질문1.
3상4선식의 경우 중성점 접지가 되므로,
이상전압 내습시 중성점을 통하여 방전이 가능하므로 피뢰기의 부담을 줄여줄수 있습니다.

질문2.
비접지의 경우 지락전류는 대지정전용량을 통하여 흐르게 되며, 앞선 위상을 갖습니다.
직접접지의 경우 지락시 모든 지락전류가 z=0인 중성점 접지로 흐르게 되어 대전류가 됩니다.
대전류에 의하여 차단기 트립으로 인하여 과도 안정도가 나쁘게 됩니다.

질문3.
비접지에서 일반적으로 대지정전용량에 의한 임피던스는 20k옴 정도가 되며, 직접접지에서 임피던스는 거의 0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직접접지방식의 지락전류가 대전류가 됩니다.

질문4.
비접지의 경우 지락전류가 작고, 직접접지의 경우 지락전류가 크므로,
1선지락이 발생할 경우 직접접지의 경우 무조건 차단이 되고, 비접지의 경우 지락전류의 대소에 따라
차단여부가 결정이 되므로, 직접접지계통이 차단횟수가 많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