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전기자기학 p105

작성자
김동현
작성일
2018-01-11 15:00:06
No.
70306
교재명
페이지
번호/내용
강사명
소호리액터는 강의에서 본것처럼 병렬공진 시켜서 지락전류를 줄이는 것이다. 라고 친구에게 설명했는데,

친구가 병렬공진을 시키는 것이 아니고 병렬공진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완전 병렬공진을 하면 이상전압이 발생한다.

즉,합조도에서 완전공진(병렬공진됨), 부족 보상(직렬공진됨)은 이상전압을 유발하므로 과보상으로 유지해야한다.
이렇게 설명하는데 이것이 맞나요?

COMMENTS

다산에듀 운영교수
2018-01-12 11:27:10

안녕하세요 김동현님.

이상전압이 발생하는 경우는 직렬공진이 발생되는 "부족보상의 상태"일 때 입니다.

고장발생시 병렬공진을 응용하여 임피던스가 최대, 지락 전류 최소가 되도록 하는것이
소호리액터접지 방식으로 이상적인 상태라면 완전병렬공진으로 운영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중성점 잔류전압으로 인해 각 상 대지 정전 용량의 불평형이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선로의 상황에 따라서 탭을 변경하면서 언제나 정전 용량과 공진할 수 있도록 운영합니다.

완전공진상태의 탭을 사용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부족공진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어느정도 감안하여 보통 10%정도 과보상하여 운전합니다.

중요한 것은 부족보상이 되면 지락사고시 과대한 이상전압 발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부족보상의 상태가 되지 않도록 운영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