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과년도 656 204번문제
- 작성자
- 김동현
- 작성일
- 2018-02-14 13:39:15
- No.
- 71997
- 교재명
- 페이지
- 번호/내용
- 강사명
전달함수가 정리가 안됩니다.
자꾸 문제풀이나 책에서 이름이 조금씩 바뀐다던가 형태가 조금씩 달라져서 뭐가뭔지 정리가안됩니다.
혼란이 너무와요
질문1. 제어공학 p3
비례제어
비례적분제어
비례민분제어
비례미분적분제어
이렇게 나와있잖아요.
이거는 전달함수를 말하는 건가요?
질문2.
비례요소 k
미분요소 ks
적분요소 k/s
1차지연 k/1+Ts
2차지연
이렇게 있는데
질문1의 것과 다른건가요?
1은 ~제어이고 질문2는 ~요소 라고하잖아요.
두개는 다른거에요?
그니까 비례요소 = 비례적분 이런게 아니에요?
요소랑 제어는 뜻이 무슨관계인거에요?
질문3.
1차지연의 형태를 과년도683 290번문제에서는
1차미분방정식 이라고 부르던데,
똑같은건가요?
질문이 좀 엉망징창인데,
그냥 결론은
외워야할 전달함수 종류좀 쭉 써주세요.
그리고 1차지연=1차미분방정식 처럼
같은데 이름이 2개면 이름 두개다좀 써주세요ㅜ
(과년도656 204번문제에 1차지연미분요소라는 또 다른 형태가 또나옵니다. 책에서 못본것 같은데, 이런것도 좀 한방에 외울수있게 써주세요. 미칠것같습니다)
담당교수 18-02-14 10:04
안녕하세요 김동현님. 질문1. 질문2. 둘 다 전달함수의 모양을 보고 비례, 미분, 적분 제어라고 하는 것입니다. 질문3. 1계 미분이 들어간 방정식을 미분방정식이라고 합니다. 1계 미분방정식의 전달함수를 구하면 1차 지연계의 전달함수의 모양이 됩니다. 질문4. 질문2에서 말씀하신대로 전달함수의 모양이 비례요소 k 미분요소 ks 적분요소 k/s 1차지연 k/1+Ts 위와 같이 암기하시면 됩니다.
------지난 질문답변입니다.
비례요소 k 미분요소 ks 적분요소 k/s 1차지연 k/1+Ts 이렇게 알려주셨잖아요,
근데 686페이지 204번 문제를 보면,
답: 1차 지연 미분요소 입니다.
위에 써주신것에 없습니다. 그래서 혼동이 오는데,
1차지연 × 미분 = 1차지연미분
(k/1+Ts) × ks = ks/1+Ts 이런식이 되는건가요?
즉, 1차 지연의 형태에 분자 s(미분형태)가 추가되서그린거에요?
그럼 1차지연적분을 표현한다고하면,
1차지연 × 적분= 1차지연적분
(k/1+Ts) × k/s = k/s+Tss
이런식으로 되는거에요?
이부분이 이해가 안되는거에요ㅜ
막상 문제에서는 알려주신거
비례요소 k 미분요소 ks 적분요소 k/s 1차지연 k/1+Ts 이것 이외의 것들이 자꾸나와서요.
자꾸 문제풀이나 책에서 이름이 조금씩 바뀐다던가 형태가 조금씩 달라져서 뭐가뭔지 정리가안됩니다.
혼란이 너무와요
질문1. 제어공학 p3
비례제어
비례적분제어
비례민분제어
비례미분적분제어
이렇게 나와있잖아요.
이거는 전달함수를 말하는 건가요?
질문2.
비례요소 k
미분요소 ks
적분요소 k/s
1차지연 k/1+Ts
2차지연
이렇게 있는데
질문1의 것과 다른건가요?
1은 ~제어이고 질문2는 ~요소 라고하잖아요.
두개는 다른거에요?
그니까 비례요소 = 비례적분 이런게 아니에요?
요소랑 제어는 뜻이 무슨관계인거에요?
질문3.
1차지연의 형태를 과년도683 290번문제에서는
1차미분방정식 이라고 부르던데,
똑같은건가요?
질문이 좀 엉망징창인데,
그냥 결론은
외워야할 전달함수 종류좀 쭉 써주세요.
그리고 1차지연=1차미분방정식 처럼
같은데 이름이 2개면 이름 두개다좀 써주세요ㅜ
(과년도656 204번문제에 1차지연미분요소라는 또 다른 형태가 또나옵니다. 책에서 못본것 같은데, 이런것도 좀 한방에 외울수있게 써주세요. 미칠것같습니다)
담당교수 18-02-14 10:04
안녕하세요 김동현님. 질문1. 질문2. 둘 다 전달함수의 모양을 보고 비례, 미분, 적분 제어라고 하는 것입니다. 질문3. 1계 미분이 들어간 방정식을 미분방정식이라고 합니다. 1계 미분방정식의 전달함수를 구하면 1차 지연계의 전달함수의 모양이 됩니다. 질문4. 질문2에서 말씀하신대로 전달함수의 모양이 비례요소 k 미분요소 ks 적분요소 k/s 1차지연 k/1+Ts 위와 같이 암기하시면 됩니다.
------지난 질문답변입니다.
비례요소 k 미분요소 ks 적분요소 k/s 1차지연 k/1+Ts 이렇게 알려주셨잖아요,
근데 686페이지 204번 문제를 보면,
답: 1차 지연 미분요소 입니다.
위에 써주신것에 없습니다. 그래서 혼동이 오는데,
1차지연 × 미분 = 1차지연미분
(k/1+Ts) × ks = ks/1+Ts 이런식이 되는건가요?
즉, 1차 지연의 형태에 분자 s(미분형태)가 추가되서그린거에요?
그럼 1차지연적분을 표현한다고하면,
1차지연 × 적분= 1차지연적분
(k/1+Ts) × k/s = k/s+Tss
이런식으로 되는거에요?
이부분이 이해가 안되는거에요ㅜ
막상 문제에서는 알려주신거
비례요소 k 미분요소 ks 적분요소 k/s 1차지연 k/1+Ts 이것 이외의 것들이 자꾸나와서요.
안녕하세요 김동현님
비례요소 k
미분요소 ks
적분요소 k/s
1차 지연 k/1+Ts
이 4개의 식에서 생각하시면 됩니다.
1차 지연 식에서 분모의 항이 sT 형태이면 1차지연 미분요소
분모의 항이 상수, 즉 sT항이 분모에만 존재하면 1차지연 적분요소
[RC 회로]
R이 출력일 경우(문제와 같이) G(s) = sT/(sT+1) → 1차지연 미분요소
C가 출력일 경우 G(s) = 1/(sT+1) → 1차지연 적분요소
[RL 회로]
RL 회로의 경우는 RC회로와 반대가 됩니다.
R이 출력일 경우 G(s) = 1/(sT+1) → 1차지연 적분요소
L이 출력일 경우 G(s) = sT/(sT +1) → 1차지연 미분요소
그리고 s가 제곱되는 형태는 회로에 L과 C가 모두 존재하여야 하며, 2차 지연요소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