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입력 kVA / kW
- 작성자
- 윤나리
- 작성일
- 2018-09-25 21:44:15
- No.
- 86468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과년도 2
- 페이지
- 491
- 번호/내용
- 10번
- 강사명
1)
입력 kVA / kW 중 kW를 쓴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2)
문제의 조건에서 원동기 기관 과부하 내량이 나와있는데, 이 조건을
문제(3)에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1)번 문제와 (2)번 문제에 모두 과부하 내량 1.2를 곱해줘야 하는게 아닌가요?
3)
(3)번 문제에서 Wo(기 운전중인 부하의 합계)에서 입력이 아닌 출력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정리해서 말하자면 , 발전기에 공급되는 것이 입력인데 왜 출력을 대입하는것인지 모르겠습니다.
4)
마지막에 발전기 용량을 산정할 때에, 문제(2),(3)의 값을 ㄱ가지고 큰 값으로 선정하였는데
이때 (1)의 값은 왜 고려하지 않은 것인가요? (1)의 값이 제일 크지 않습니까?
Q1. 각 부하의 역률이 다르므로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비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Q2. (1) (2)는 전부하 정상운전시와 이때의 기동에 필요한 용량이므로
과부하 내량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Q3. 해당 식을 보시면 분모에 발전기 표준역률을 곱합니다.
따라서 분모의 식은 kW가 오는 것이 맞습니다.
즉, 부하가 순간 최대로 걸리게 되는 용량(=기동시 최대 용량)을 계산하여 발전기 용량을 산정하는 것입니다.
기동순서대로 계산을 해보면
1) 조명의 기동:
가장 처음 기동되므로 그 이전에 운전중인 부하는 없으므로 기 운전중인 부하의 합계 = ΣWo = 0
표의 기동특성을 보면 역률과 용량 모두 "-" 으로 값이 없으므로 0.
즉, ΣWo + (Q * cosθ ) = 0 + (0*0) = 0 → 즉, 조명이 운전중일 때에는 순시최대부하에 의한 용량과 관계 없음
2) 스프링쿨러의 기동
조명이 먼저 운전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기운전중인 부하의 합계 = ΣWo = 10
표의 기동특성을 보면 Q = 142.2, cosθ = 0.4
P = ΣWo + (Q * cosθ(Q) ) / (K * cosθ(g)) = (10 + 142.2*0.4) / (1.2 * 0.8) = 69.67kVA
3) 펌프의 기동(소화전펌프와 양수펌프)
조명과 스프링쿨러가 먼저 운전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기운전중인 부하의 합계 = ΣWo = 10 + 61.1
표의 기동특성을 보면 Q = (42 + 63 ), cosθ = 0.4
P = ΣWo + (Q * cosθ(Q) ) / (K * cosθ(g)) = ((10+61.1)+(42+63)*0.4) / (1.2 * 0.8) = 117.81kVA
계산한 것을 보면 펌프를 기동할 때의 "순시최대부하에 의한 용량" 값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조명과 스프링쿨러를 운전중인 상태에서 펌프를 기동시킬 때(기동순서 2에서 3으로 이행할 때)
순시 최대 부하용량이 큽니다.
예비발전기용량은 "순시최대부하용량"이 가장 큰 계산값에 의하여 선정되어야
문제없이 모든 부하를 기동 및 운전시킬 수 있으므로 117.81kVA 를 선정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