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질문은요
- 작성자
- 김형섭
- 작성일
- 2018-10-23 19:38:37
- No.
- 87879
- 교재명
- 전력공학
- 페이지
- 일반 사항
- 번호/내용
- 일반 사항
- 강사명
1. 삼상3선식에서는 R,S와 S,T와 R,T가 각각 220V이 되고, 근데 3상4선식에서는 R,S,T,N에서 R,S와 S,T와 R,T는 각각 380V이고
RN,SN,TN은 220V으로 인터넷에 나와 있더라고요.
1) 근데 왜 3상4선식에서는 R,S,T,N에서 R,S와 S,T와 R,T에서는 3상3선과 달리 각각 380V인가요?
2) 220V를 만드는 과정이 왜 3상3선식과 3상 4선식이 다르죠?
2. 정말 궁금한거는....Y결선에서 R,S,T를 중앙에서 묶으면 쇼트가 나지 않나요?
3. 또 다른 궁금한건, 한전에서 송배전선을 통해 R,S,T 3상을 보내고 가정집 인근의 주상변압기에서 이걸 R,S,T,N으로
4선을 만들어, 공장이나 가정집으로 보낸다고 인터넷에 나와 있던데(맞겟지요)...
근데 주상변압기에서 실제로 N선을 뽑아내는 구조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한데요...상세히 설명 좀 해 주시겟어요?
Q1
우선 회로이론의 평형3상 교류에서 다루는 Y결선과 델타결선을 이해하셔야 합니다.(회로이론 p90)
3상 3선식의 경우 델타결선으로 상전압 = 선간전압 = 220V
3상 4선식의 경우 Y결선에 중성선이 존재하는 결선으로 선간전압 = 루트3*상전압.
따라서 상전압 220V*루트3 = 선간전압 380V가 되는 것입니다.
Q2.
전력공학에서 다루는 3상 3선식의 델타결선, 3상 4선식의 와이결선은
전력공급측의 결선을 말하고 있으며 부하측에 부하가 달려있습니다.
말씀하시는 쇼트는 부하측 단락사고시를 제외한다면 일어나지 않습니다.
Q3.
전력공학 진도를 나가시면 이해되는 부분입니다.
진도를 나가면서 이해가 되지 않을 때 재질문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