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공사필기
전기기기 단락비질문
- 작성자
- lownia
- 작성일
- 2019-01-29 14:50:16
- No.
- 90290
- 교재명
- 전기기기
- 페이지
- 71
- 번호/내용
- 이론질문입니다
- 강사명
문제는 아니고 이론질문인데요
71페이지에서 단락비를 설명하실때
단락비 K= 무부하시 정격전압을 유기시키는데 필요한 계자전류 / 단락시 정격전류와 같은 단락전류를 흘리는데 필요한 계자전류 라 나와있습니다.
이 내용을 보았을때 그러면 단락비가 1일때 분모와 분자의 계자전류가 같으니까, 한 계자전류의 값으로 정격전압과 정격전류를 모두 낼수있는 단락비 1이 가장 좋은 효율을 지니겠구나 생각을했는데요,
뒷부분을 공부해보니까, 기계가 크고 무겁고 비싸고 이런것 빼고는 단락비가 클수록 다 좋다고 되있더라구요.
왜 그런지 잘 모르겠는데 이해하는데 도와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단락비 = Is/In = 100/%Z
단락비는 동기임피던스의 역수입니다. 즉,
단락비가 크다 = 동기임피던스가 작다.
닥락비가 큰 기계는 전기자 반작용이 작고
계자부분의 주재료인 철이 전기자 부분의 강철에 비해 양이 많아 전체적으로 대형이 되고, 철기계.가 됩니다.
철기계는 동기임피던스가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압변동률이 작고
송전선로의 무부하 충전 및 과도현상에 대한 안정도가 크지만 고가입니다.
아래와 같이 정리하시길 바랍니다.
단락비가 크다
= %임피던스가 작다.
= 동기임피던스가 작다.
= 전압변동률이 작다
= 안정도가 좋다.
= 전기자반작용이 작다
= 주자속이 크다.
= 공극이 크다
= 기기가 크고, 중량이 크다.
= 효율이 나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