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기동보상기법
- 작성자
- 박건우
- 작성일
- 2019-02-09 21:27:33
- No.
- 90740
- 교재명
- 전기기사 실기 30개년 2권
- 페이지
- 223
- 번호/내용
- 06
- 강사명
아래 시퀀스도에서
1.기동순서가 52n 52 52s인데
각각의 접촉기의 역활이 무엇인가요?
2.그리고 52x는 보조릴레이인데 왜 그리는건가요?
3.기동완료후 전전압을 가하는 방식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서 말하는 전전압이란 무슨뜻인가요?
4. 리액터기동과 똑같아 보입니다만 리액터 기동과 차이가 있나요?
p223. 6번)
Q1. 시퀀스에 mc 위치를 보시면
52 : 메인 MC
52N : 기동 MC
52s : 운전 MC
Q2. 해당 시퀀스에서 보조릴레이 52X는 52S의 자기유지를 시켜줍니다.
전자접촉기 MC는 대용량 전력부하를 스위칭하여 시퀀스의 주회로(전원선)에 구성되고
릴레이는 주로 소전류를 스위칭하며, 제어회로에 쓰입니다.
Q3. 전전압이란 전압을 full 로 가한다는 것입니다.
기동보상기 회로는 기동보상기 감압탭으로 전압을 감압하여 기동한 후
기동이 끝나면 전전압으로 운전합니다.
Q4.
[리액터 기동법]
전원과 전동기의 사이에 직렬리액터를 넣어 전동기의 전압을 전압 강하분 만큼 낮추어
인가하여 기동전류를 제한하는 방식.
[기동보상기법]
대형모터 또는 고전압 모터에 주로 사용되며, "감압탭"을 이용하여 전압을 감압하여 기동.
주회로를 보시면 모터에 결선되는 것은 탭에서 인출되어 모터 전원으로 들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