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LS b접점 재질문입니다
- 작성자
- Dsilva
- 작성일
- 2019-03-19 13:41:55
- No.
- 92367
- 교재명
- 과년도 2권
- 페이지
- 377
- 번호/내용
- 10
- 강사명
LS1은 셔터가 상한점에 도달시 개로되며
LS2ㄴ느 셔터가 하한점에 도달시 개로가 됩니다.
즉, 문의 위치에 의해서 동작을 합니다.
상한점은 문이 더이상 오라가지 않는 위치를 말하며,
하한점은 문이 더이상 내려가지 않는 위치를 말합니다.
따라서 문의 상한에 LS1이 있고, 문의 하한에 LS2가 있습니다.
그림으로 그려서 이해해 보시기 바랍니다.
------------------------------------------------------------------------------------
제가 했던 질문에 달린 답변입니다.
상한점과 하한점의 의미를 모르는 것이 아닙니다. 제 질문은 이겁니다.
Q1. (4)번 타임 차트의 가장 첫 부분을 예로 하면, 현재 '셔터가 닫혀있는 상태, 문이 하한점에 도달한 상태, LS2-b가 개로된 상태' 입니다.
b접점이라는 것은 LOW일 때 닫혀있다가, HIGH 일 때 개로되는 것이니까,
LSb-2를 개로시키려면 타임차트의 가장 첫부분 LS2-b는 'HIGH'로 그려야 하는거 아닌가요?
(추가질문 Q2)
311페이지 1번문제 같은 경우. X-b접점을 그릴때 옆에 'X바'라고 표시를 해주는데요
과년도 풀다보면 언제는 'X'라고 표시하기도 하고, 언제는 'X바' 라고 표시하기도 하네요 뭐가 맞는건가요?
p377. 10번)
Q1. 타임차트를 보면
자동차 차고 셔터 상태가 처음에는 닫혀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LS1-b 접점은 동작하지 않아 닫혀있는 상태이고
LS2-b 접점은 이미 LS2가 셔터의 하한을 감지하여 동작된 상태. 즉, 열려있는 상태.입니다.
p311. 1번)
Q2.
둘 다 맞습니다.
일반적인 시퀀스에서 X-b접점으로 표기하나
해당문제와같이 논리식을 시퀀스로 구현할 경우 X바 기호 그대로 표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