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기사실기
인터록 회로 원리
- 작성자
- 김영호
- 작성일
- 2019-10-03 12:08:49
- No.
- 99660
- 교재명
- 기사실기 본교재
- 페이지
- p 399
- 번호/내용
- 인터록 회로
- 강사명
교수님 항상 고생많으십니다. 인터록 회로 설계시 그림 바에서 처럼 pb스위치 1을 누르면 릴레이 1의 a접점이 붙으면서 자기
유지되고 이 pb1이 동작중에는 pb2를 아무리 눌러도 동작되지 않는 이유는 pb1의 자가유지를 도와주고 있는 릴레이 1의
a접점.b접점을 교대로 쓰고 있기 때문인가요? 다시 말해서 공통의 릴레이에 접점만 따로 쓰는 것인가요?
인터록 회로란 기기의 보호나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기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접점을 사용하여
관련된 기기의 동작을 금지하는 회로를 말합니다.
인터록 회로의 구성은 릴레이의 b접점을 상대측 회로에 직렬로 연결하여
어느 한 릴레이 동작 중일 때는 반드시 다른 릴레이는 동작할 수 없도록 규제하는 것입니다.
해당 페이지 인터록 회로로 설명하면 최초의 상태에서
PB1을 누르면 R1이 여자되어 R1-a접점은 닫히고 R1-b접점은 열리므로
R1이 여자되어있는 동안 R2는 동작되지 않습니다.(R2가 R1-b접점과 직렬인데 이 b접점이 열려있으므로)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최초의 상태에서
PB2을 누르면 R2가 여자되어 R2-a접점은 닫히고 R2-b접점은 열리므로
R2이 여자되어있는 동안 R1은 동작되지 않습니다.(R1이 R2-b접점과 직렬인데 이 b접점이 열려있으므로)